우체국 알뜰폰 요금제 및 단말기 핵심 요약
알뜰폰, 효도폰 등 요금제가 매우 저렴한 핸드폰 (스마트폰)을 알아보셨나요?
우체국 알뜰폰 등 요즘 저렴한 알뜰폰 가입자가 500만명을 넘어섰다 합니다.
알뜰폰은 사용자에 따라 복잡한 부가기능이 필요없는 단말기, 거품이 빠진 요금제 사용을 줄이고, 필요에 맞는 합리적 소비를 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체국 알뜰폰을 가입하고, 내게 꼭 필요한 기능만 있는 맞춤형으로 저렴한 휴대폰이 필요한 분들에게 참고가 될만한 단말기와 요금제 등을 알아봤습니다.
월 1,100원 짜리 기본 요금제에 가입하다.
부모님이 쓰실 용도는 전화 받기와 급할 때 전화를 걸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핸드폰으로, 정전기 터치식이 불편한 스마트폰 보다는 “버튼 누름식 피쳐폰” + 용도에 맞추는 것이었습니다.
더 이상의 욕심은 합리적인 소비를 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요소이므로, 과감히 버립니다.
장롱이나 서랍속에 둔 단말기가 있다면 그것을 쓰면 되지만, 우체국에서 행사하고 있는 신품 30,000원 짜리를 완납으로 구입하고 에넥스텔레콤의 월 1,100월(부가세 포함) 요금제로 가입했습니다.
장롱속의 핸드폰은 배터리 충전기가 수명이 다된 것일 수도 있어, 장롱 핸드폰에 맞는 배터리를 또 구입해야할 지도 모릅니다.
전화를 받는데만 쓴다면, 한달 요금은 1,100원 내는 것이 전부일 것입니다. 긴급한 용도로 한달 10분을 사용했다면 600초 x 1.8원(대략) = 1,080원이니 1,000원 + 1,080 = 2,080원으로 합하면 합하면 몇 천원 요금으로 끝날 것입니다.
알뜰폰의 용도
에넥스 텔레콤의 안내장을 대부분 참고하겠습니다. 부모님 효도폰, 우리아이 열공폰, 약정끝난 핸드폰, 합리적인 데이터 사용, 업무용 핸드폰 등과 기존에 스마트폰을 이미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사이드폰, 서브폰으로서 하나 더 만들 수도 있겠네요.
알뜰폰 선택요령 핵심 요약
우체국 알뜰폰을 가입하는 데에도 알아보면, 정해야 될게 너무 많아 매우 복잡하다는 느낌을 가집니다.
정해야 될 것이 1. 통신사, 2. 단말기, 3. 재판매사업자(MVNO, 알뜰폰 서비스 제공회사), 4. 요금제 등으로, 단말기만 하더라도 꽤 많습니다.
우체국 알뜰폰 단말기 및 요금제 정하기, 가입하기 핵심 요령
먼저, 이 핵심 요령은 주관이 많이 개입되어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읽는 분의 경우에 맞게 수정, 보완하시기 바랍니다.
우체국은 알뜰폰 사업자를 대신하여 가입신청을 받는 곳입니다.
알뜰폰 사업자는 SKT, KT, LG U+ 등 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핸드폰 서비스를 합니다.
1. 핸드폰의 필요한 용도를 확정한다.
용도를 미리 정해놓아도, 가입 장소에 가서 안내장을 보면 이런 기능 저런 기능 등 부가로 듣는 추가기능과 요금제에 마음이 흔들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판단이 점점 복잡해집니다.
2. 재판매 사업자를 가리지 않고, 단말기와 요금제만을 본다.
통신사는 선호하는 회사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알뜰폰 업체는 아직 서비스가 좋고 나쁨에 대한 오랜 기간의 검증이 거의 안되었으므로 가리지 않습니다(제 주관적 판단).
용도에 맞는 단말기와 요금제에 유의하여 본다.
핸드폰 신품이 필요하다면, 할인폭이 큰 행사 상품을 먼저보고 판단한다.
3. 알뜰폰 가입이 가능한 우체국 매장이 따로 있으며, 미리 전화해본다.
정해야 할 통신사, 단말기, 재판매사업자, 요금제 정하기가 인터넷으로 미리 보고, 매장을 방문한다. 너무 복잡하다 싶을때는 매장으로 고고, 행사 상품 선택해도 무방.
위 그림을 보면 기본 요금 월 1,000원(부가세 제외)인 “홈1000”을 선택하면 월 단말 할부금 6,000원 + 월 납부요금 1,000원 = 월 총납부요금 7,000원이나, 제 경우는 단말기는 완납하였으므로 할부금을 제외하여야 하고, 월 납부요금 1,100(부가세 포함)이 기본료가 됩니다.
단말기 완납시 월 총납부요금은 “기본료 1,100원 + 사용량에 따른 추가요금”인 셈입니다.
단말기를 할부로 구입시는 단말기 할부금을 추가하여야 합니다.
알뜰폰 사업자 선택
이걸 보면 무척 복잡하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행사 상품 안내장 있으면 좀 달라고 해보세요.
SKT : 스마텔, 유니컴즈, 아이즈모바일, 유니컴즈
KT : 위너스텔, 에넥스텔레콤, 세중텔레콤
LG U+ : 인스코비, 머천드코리아
이상으로
오늘은 “우체국 알뜰폰 요금제와 단말기, 통신사 선택 요령 등을” 알아봤습니다.
정하기가 복잡할 때는 인근 우체국에 전화해보고, 우체국 알뜰폰 가입이 가능한 지점의 위치를 파악하고 방문하면 됩니다.
성인일 경우 본인 명의로 가입하면 본인 신분증과 요금 결제 통장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와 유효기간 등을, 미성년자와 대리인이 방문할 경우 인감증명서, 위임장 등의 구비서류를 우체국 홈페이지나 전화로 미리 알아보고 가면 됩니다.
참고 또는 도움이 되는 내용이 있기를 바랍니다.
관련글
Paypal 결제, 사용법, 계정 만들기 및 신용카드 연결 등 전반에 대하여
세금환급 국세환급금, 지방세환급금 조회 및 찾기
ETF란? ETN이란? ETF와 ETN의 뜻, 주식과의 상관 관계 해설
케이뱅크 계좌개설 이벤트 현금 최대 10만원 지급 행운 상자 열기 이벤트
주식 공모주 청약 방법 및 절차 (feat. SK바이오사이언스 및 엔시스 청약 결과 후기)
KYC인증이란? KYC – Know Your Customer – 의 뜻과 의미, 절차
카드발급 신청시 활용가능한 신용카드 추천 정보
페이팔(Paypal) 수수료 – 인출 및 구매시
한국 은행의 영문 명칭 및 SWIFT Code (BIC), IBAN 등에 대해
페이팔에서 수금 방법 / Paypal Withdrawal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원 신규가입 회원 2만원 증정 이벤트 및 수수료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