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공이산(憂公移山) /Water will wear away stone은 일본 속담으로는 雨垂れ 石を 穿つ(あまだれいしをうがつ )으로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는 뜻입니다.
우공이산 뜻
영어로 된 속담은 “물이 돌을 닳아 없앨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 속담에 주목하게 된 것은 다른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라, 지인(知人)이 약 1년전부터 이 속담을 너무 좋아해 궁금해 하던 차에 자꾸 머리 속에 떠올려지고 맴돌아 관심을 갖게 된 때문입니다.
무엇이든 남들이 볼 때 굉장히 어리석어 보이지만, 그것은 결국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일이고 꾸준히 하면 – 남이 알아주든 말든 – 종국엔 세상을 움직일 큰 결과 내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우공이산 유래
우공이산(憂公移山)의 설화
우공이산(憂公移山)의 설화 [위키백과]
중국의 태행(太行)과 왕옥(王屋) 두 산맥은 오래전엔 북산(北山)을 사이에 두고 지금과는 다른 곳에 있었다.
북산에 살고있던 우공(愚公) 이라는 노인이 높은 산에 가로막혀 왕래하는 데 겪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두 산을 옮기기로 하였다.
둘레가 700리에 달하는 큰 산맥의 흙을 퍼담아서 왕복하는 데 1년이 걸리는 발해만(渤海灣) 까지 운반하는 작업을 하는 우공(愚公)의 모습을 보고,친구 지수(智搜)가 그만둘 것을 권유하자 우공(愚公)이 말했다.
“나는 늙었지만 나에게는 자식과 손자가 있고, 그들이 자자손손 대를 이어나갈 것이다. 하지만 산은 불어나지 않을 것이니, 대를 이어 일을 해나가다 보면 언젠가는 산이 깎여 평평하게 될 날이 오겠지”
산신령에게 이 말을 전해들은 옥황상제가 두 산을 멀리 옮겨주어 노인의 뜻은 성취되었다.
해설
[해설]
도가적 사상서인 열자(列子)에서 우공(愚公)과 지수(智搜)라는 두 인물의 이름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세상이 말하는 지혜로움과 어리석음의 기준은 절대적 진리가 아니라고 하는 것으로서, 우공(愚公)은 ‘어리석은 노인’이란 뜻이 아니라, 역설적인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상 설화 및 해설 부분 출처 : 위키백과 (바로가기)
우공이산의 지혜가 가르키는 것
우공이산의 지혜가 가르키는 것
1. 조급함을 버리라는 것입니다.
너무 눈앞에 보이는 이익이나 결과에 연연해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2. 눈앞의 성과가 안보인다면, 돌아서 가도 된다면 돌아가라는 것입니다.
3. 그렇다고 해서 핵심 전략적 포지셔닝(Positioning)을 버리고 대충해도 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공이산의 교훈을 새기며
필자의 생각
우공이산의 지혜는 천천히 돌아가더라도 매우 어리석어 보이지만 결코 어리석지 않으며, 궁극적 목표가 달성되는 것은 당장의 성과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궁극적 목표가 달성되기 위해서는 눈앞의 성과에 지나치게 연연하지 않고, 꾸준히 한발 한발 내딛다보면 큰 성과를 이루어 낼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관련글
자기중심성, 자기중심적 사고
통증과 공포에 대한 단상, 고찰
사람은 누구나 외롭다 – 신앞에 선 단독자
고정관념 vs 유연한 사고
과거와 현재, 미래
돈이란 무엇인가?
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 멀리서 보면 희극 – 찰리 채플린
창조설 vs 진화론 /스스로의 종지부를 찍다
현대인의 딜레마, 스마트폰과 SNS에 갇히다 / Our contemporaries caged in smartphone, SNS
흔하지만 귀한 것 – Common but Noble
그것이 알고싶다 – UFO와 외계인은 과연 존재할 수 있는가?
손자병법 36계와 교훈 (13계) | 13/36 stratagems of SunZi Art of War
법과 제도의 문제점 그것이 알고싶다
정의란 무엇인가? – 의미의 부여
정의란 무엇인가? – 성매매 특별법 위헌 소송 및 간통죄 위헌판결에 덧붙여
인간 슬픔의 근원에 대해서 #1 / About the root of human sadness #1
인간 슬픔의 근원에 대해서 #2 / About the root of human sadness #2
인간 슬픔의 근원에 대해서 #3 / About the root of human sadness #3
[단상] 사람이 늙어감은 어쩔수 없다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