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 표준어의 특징과 문화적 배경 그리고 몇가지 예시들

경상도 표준어는 타 지역 사투리에 비해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비롯한 부산, 대구, 울산 등지에서 사용되는 표준말입니다. 이 지역의 표준어는 발음, 억양, 어휘 면에서 사투리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상도 표준어의 발음 특징

  1. 억양의 차이: 경상도 표준어는 억양이 강하고, 고저가 분명하여 다른 지역 사람들이 듣기에는 공격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2. 종성 발음: ‘ㅆ’, ‘ㅈ’, ‘ㅊ’ 등의 종성을 강하게 발음합니다. 예를 들어, “있다”를 [잇따]로 발음합니다.
  3. 모음 발음 차이: ‘ㅐ’와 ‘ㅔ’의 발음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내일”과 “네일”의 발음이 거의 같습니다. ‘ㅏ’를 ‘ㅐ’로 발음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학교”를 “핵교”로. 또 다른 예시로 “아버지”를 “아부지”로, “엄마”을 “옴마”로 발음하기도 한다.
  4. 축약과 생략: 경상도 표준어는 단어의 끝을 생략하거나 축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 아이 성이 가씨니?”는 “가가 가가가?”로 축약하기도 합니다. “좀 잘해라!”는 “쫌!”, “좀 신경질나게 하지마!”는 “쫌!”, “좀 잔소리하지 말아!”도 “쫌!”, “이게 무엇이니?”는 “뭐꼬?”, “너 까불면 혼난다!”는 “칵!”, “선생님”은 “쌤”, “할머니”는 “할배”, “할머니”는 “할매” 등
경상도 표준어의 특징과 문화적 배경 그리고 예시

문법 특징

  1. 인칭 대명사 사용의 차이: 경상도 표준어에서는 서울 사투리와 다른 인칭 대명사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너는”을 “니는”으로, “그것은”을 “그거는”으로, “이 녀석”은 “임마”로, “저 녀석”은 “점마”, “그 녀석”은 “금마”로 사용합니다.
  2. 높임말: 경상도 표준어는 높임말이 상대적으로 덜 발달되어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덜 정중한 느낌을 줄 수도 있지만, 영어처럼 평등한 느낌도 줍니다. 부모와 자식간, 심지어 조부모와 손자간에도 반말을 쓰는 경향이 더러 있습니다. “할배 밥무라” 또는 조금 존중하면 “할배 밥무소”.
  3. 긍정 및 부정 표현: 부정문을 만들 때 “않다” 대신 “안”을 자주 사용합니다. 예: “가지 않다”를 “안 간다”로 표현.

어휘 특징

  1. 고유 어휘: 경상도 표준어에는 다른 사투리에 비해 고유의 어휘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고마”는 “그만”을, “정구지”는 “부추”를, “배차”는 “배추”를 의미합니다. 영화 ‘친구’에서 유명한 대사 – ‘마이 무것다 아이가, 고마 해라…’
  2. 외래어: 외래어를 경상도 표준어식으로 변형하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택시”를 “택시이”로 발음합니다.
  3. 강조 표현: 어떤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 특정 어휘를 자주 사용합니다. 예: “대따” (매우), “디비다” (뒤집다).

경상도 사투리 예시

  1. “가시나” – 여자아이
  2. “어데 가노?” – 어디 가니?
  3. “밥 무라” – 밥 먹어라
  4. “하모, 맞다 아이가” – 그래, 맞지 않니?
  5. “와 이라노?” – 왜 이러니?
  6. “요래 요래 해라” – 이렇게 이렇게 해라.
  7. “마이 무라” – 많이 먹어라.
  8. “요 와라” – 여기 와라.
  9. “글마가 누꼬?” – 그 녀석이 누구인데?
  10. “가가가가?” – 그 아이가 그 아이니?
  11. “짜치다” – 작다. 모자르다.
  12. “까리하다” – 멋지다.
  13. “땡기다” – 당기다.
  14. “이바구” – 이야기.
  15. “캉” – ~와 (함께). 예시 니캉 내캉.
  16. “대다” – 힘들다.
  17. “누부” – 누나.
  18. “아지매” – 아주머니.
  19. “주디” – 입.
  20. “문디” – 못난 사람, 못난 놈.
  21. “궁디” – 궁둥이.
  22. “단디” – 제대로, 똑바로, 꼭. 예시 : 단디 해라.
  23. “통시” – 뒷간.
  24. “빙아리, 뼁아리” – 병아리.
  25. “산만대이” – 산마루.
  26. “폴” – 팔.
  27. “포리” – 파리.
  28. “헌두디기” – 누더기.
  29. “사오” – 사위.
  30. “소짝새” – 소쩍새.
  31. “가실” – 가을.

문화적 배경

  • 경상도 사람들은 경상도 표준어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며, 경상도 표준어를 통해 강한 지역적 정체성과 유대감을 느낍니다.
  • 경상도 표준어는 경상도 지역 사람들 사이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표준어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지역 사투리에 비해 더 친근한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 표준어는 노래, 연극, 영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지역 색깔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됩니다.

경상도 표준어는 사투리에 비해 경상도 지역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들의 정체성과 문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언어적 특징 중 하나입니다.

관련 글

한글 맞춤법 검사기 띄어쓰기 검사기 정확도 및 장단점 비교 (링크제공)